Appearance
취득 하면 얻는 것
우선, 취득하게 되면 두 가지 혜택과 한 가지 자격이 주어진다.
Dolby Vision Certified Professional 로고를 사용할 수 있다.
- 로고 사용의 경우 이력서나 업체 소개서에 넣기 용이하다.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엔 네임밸류를 중시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몇 페이지의 포트폴리오보다 유용할 수 있다.
Dolby Vision Certified Professional에 listing 된다.
- listing된 정보는 취득 확인을 알려오는 이메일을 통해 수정 할 수 있다.
Dolby Vision Mastering/Playback License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.
- Mastering/Playback License는 본래 Facility를 인증 후 주는 것이었는데, 어느샌가부터 Individual Certification을 진행한 뒤 심사 후 구매 가부가 결정된다. 개인이 취득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. 다른건 다 차치하더라도 하드웨어 구비는 개인에게 큰 부담이 있을 수 밖에 없다.
취득 방법
퀴즈와 실기물 제출의 2단계로 이뤄지면 총 2번의 기회가 있다.
사실상 자신들의 '기술을 정확히 사용할 수 있는가'를 보는 것이기 때문에, Certification을 대한민국에서 인식하는 자격증 급으로 보면 곤란하다.
HDR에 대한 개념과 Dolby Vision에서의 Trim에 관한 내용을 읽어보면 된다. 아래의 링크에서 모든 것을 준비 할 수 있다.
Dolby Vision for Content Creators
퀴즈의 경우,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이상 영어 능력으로 가능하다 본다. 스스로 함정에 빠지지 않는게 중요하다. Dolby라는 이름이 있는데 이렇게 질문이 쉬울 수 있는지 자문하게 되는 순간 생각이 멎게 된다. 그만큼 쉽고, 사실상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퀴즈를 푸는 것이기 때문에 오픈북으로도 진행 할 수 있다.
실기물 제출은 제작 순서를 다 알려준다. Dolby Vision을 위한 기본 세팅 후 Reference Video를 보고, EDL을 가져와서, 몇가지 중요사항들을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. 해당 부분 역시 상단의 링크에 모두 나와 있다.
실기물 제출은 주어진 링크에 Aspera로 업로드 하면 된다. 내 경우엔 진짜 이게 너무 쉬워서 맞는지 확인하는게 더 오래걸렸다.
취득 후
아직 쓸 곳을 찾지 못했다. 프로필에 올려 둔 정도다.